메인메뉴

사회적 가치 연구소

  • SV-Edu
공유하기

안산도시공사 ‘사회적 가치 및 적용사례 교육’ 진행

 

 

 지난 127일 안산도시공사 올림픽기념관 지하1층 소극장에서 안산도시공사 재직자들을 대상으로 사회적 가치 및 적용사례 교육이 진행되었습니다. 본 교육은 사회적 가치의 중요성 전파 및 교육 이후 사회적 가치를 사업에 적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며, 1. 국가혁신 패러다임의 변화, 2. 정부 혁신정책, 3. 국내·외 기관 혁신사례, 4. 공공기관 혁신 방향을 순서로 진행되었습니다.

 

 

 해당 교육에서는 현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하는 공공기관 혁신 가이드내에 사회적 가치라는 표현에서 사회적 책임으로 표현하고 있음을 설명하였습니다. , K-ESG 지표를 소개하고 안산도시공사가 본 교육을 통해 새 정부에서 요구하고 있는 정부 및 공공기관의 혁신방향을 배우고 추후 적용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배성기 소장은 이러한 사례들을 소개하며, 성과는 측정되어 관리·개선되며 설명할 수 있어야 우수기관이 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를 위해서는 단순 만족도 조사에서 더 나아가 사회적 가치 측정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하였습니다. 사회적 가치 측정을 위해 우선 공공서비스 제공 시 관련 이해관계자 분석이 필요하고, 서비스 수혜자들의 체감력 있는 삶의 변화를 측정·계량화하여 화폐적가치로 계산하는 사회투자수익율(SROI) 산정방법이 있음을 설명하였습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연구소에서 사회적 가치 측정을 수행한 바 있는 ‘SH형 사회적 가치 모델정립을 통한 기본계획 및 실행전략 수립 연구와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에서 소셜임팩트를 평가하고자 하여 본 연구소에서 측정한 취약계층 대상 디지털서비스 사회성과 측정연구 사례를 소개하였습니다. SH형 사회적 가치 측정 연구에서는 SH 경영활동이 서울시의 도시·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기 위한 실행과제 유형별 10개의 전략과제를 도출 및 제시한 바 있습니다. 또한 취약계층 대상 디지털서비스 사회성과 측정 연구를 지능정보화 사업별 서비스 대상과 서비스 유형, 이해관계자 분석, 임팩트 맵을 작성하여 성과분류체계를 수립하고, 사회성과를 재무성과 및 비재무성과로 나누어 다차원 분석한 사례로 소개하였습니다.

 

 

 한 안산도시공사의 경우 2021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에 따르면 등급 에 해당하지만 사회적 가치 평균평점은 우수한 수준이므로, ESG 경영원리 등 평가요소 반영 및 관련 항목의 지속적 관리, 주민참여단 확대·운영 등 개선사항과 사회적 가치 창출 내·외부 혁신 방향을 제시하고, 개인의 경우에도 ESG를 고려한 업무수행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설명하였습니다.

 

 

 끝으로 배성기 소장은 측정할 수 없으면 관리할 수 없고 관리할 수 없으면 개선할 수 없다.’는 피터 드러커의 말을 인용하며, 지방공기업의 사회적 가치 및 ESG 추구 혁신 활동은 새로운 것이 아니며 기존에 미처 챙기지 못했던 사회문제 및 저탄소경제로의 전환활동을 살펴 실행하고 관행적 업무 재확인 및 목표와 방향·방법을 재설정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설명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시민과 기업이 체감할 수 있는 변화와 혁신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하며 교육을 마쳤습니다. 교육 이후 한 수강생은 ESEGI(Environment, Social, Economic, Governance, Innovation) 추진의 필요성을 알게되었다고 이야기하였습니다.

 

 

 한편 사회적 가치 연구소는 사회적 가치, 사회적 책임, CSR, 민관협력, 동반성장 등의 실행에 대한 교육을 실시해 교육 담당 지자체 공무원 및 공공기관 임직원들의 관련 전략수립 및 사회성과 측정을 돕고 있으며, 공동체 편익을 증대시키는 가치추구 공직관 및 시민사회 및 공공기관의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는 연구기관입니다.

 

 

공유하기
등록자

관리자

등록일
2022-12-12 10:08
조회
3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