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cial Value Institute
교육접수및프로그램
지난 12월 19일, 세종시에 위치한 세종시문화재단 2층 문화강좌실에서 세종시문화재단 임직원들을 대상으로 ‘출자출연기관의 ESG경영의 이해’교육이 진행되었다.
세종시문화재단이 주관한 이번 교육은 사회적가치연구소 배성기 연구소장이 진행하였으며, 세종시문화재단 실무자들의 ESG경영에 대한 이해도 제고를 목적으로 추진되었다. 배성기 소장의 교육은 크게 네 파트로, 1. 국가경영 패러다임의 변화 2. 새 정부 공공기관 가치 혁신 정책 3. 국내․외 기관 혁신사례 4.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 ESG 혁신방향 순으로 진행되었다.
세부내용으로는 먼저 혁신 정책사례로 영국 Public service(social value) Act 혁신방법과 영국의 협력적 도시로 런던 람베스의 지속가능경영 사례를 소개하였다. 또한, 우리나라의 신뢰 사회 구축을 통한 사회적 자본 축적에 관해 설명하며 “한 사회가 신뢰하고 소통하며 협력하기 위한 사회적가치 창출과 저탄소경제 전환을 위한 ESG경영이 중요하다”라고 강조하였다. 이어 공기업 ESG 혁신사례로 인천국제공항공사와 민간기업인 SK의 ESG 경영사례를 소개하여 ESG 실현의 구체적 예시를 통한 수강생들의 이해를 도왔다.
이어 배성기 소장은 정부가 어떻게 ESG를 실현하려 하는가에 대한 정부혁신 정책들로 ‘국가 지속가능발전목표(K-SDGs)’, ‘K-ESG 가이드라인’, ‘한국형 녹색분류체계 가이드라인’, ‘2021년 녹색금융 추진계획(안)’, “환경정보공개시스템“, ”국가온실가스 종합관리시스템“, ”전국지속가능발전협의회”, ”지방의제21”,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등 한국형 ESG 경영 관련 주요사항들을 소개하였다.
또한, 영국 런던시의 “GLA Land&Property”(런던광역도시공사) 등 해외 ESG 실행기관 사례뿐 아니라, SH형 사회적 가치(ESG) 모델의 전반적인 개념 및 실행전략 수립체계, 특정 지자체와 공공기관의 ESG 활동사례 등 다양한 국내·외 기관의 ESG 경영 혁신사례를 소개하였다.
마지막으로 세종시문화재단의 2022년도 경영평가 결과 및 종합평가의견을 이야기하였다. 특히 세종시문화재단의 ‘지속가능경영’, ‘사회적가치 영역 평가결과’부분의 미흡했던 사항들과 2023년도 지방공기업 경영평가편람(안) 등 새 정부의 변화된 공공기관 평가기준에 대해 설명하며 임직원들이 앞으로 나아가야할 방향성에 대해 설명하였다.
또한, 공공기관 경영혁신과 KSV․KESG의 창출방안으로서 “여러 이해관계자와의 혁신네트워크 구축과 기관 내·외부 혁신, 모든 부서 직원들의 공감과 내재화 교육을 통한 실제 업무 적용이 중요하다”라고 언급하였다.
이어 공적서비스와 성과관리 방법론으로 프로세스평가와 임팩트평가에 대해 설명하였다. 이후, 점점 중요해지고 있는 공공서비스 임팩트 평가사례로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NIA)의 ‘취약계층 대상 디지털 서비스 사회성과 측정’연구사례에 대해 설명하며 교육을 마무리 하였다.
관리자
서울 성북구 종암로 167, 동일하이빌뉴시티 101-2001 | Tel 02-943-1947 | Fax 02-943-1948 | E-mail svi@svi.re.kr사업자 등록번호 563-27-00473 | 대표자 배성기 | 통장번호 1002-558-951785 우리은행 | www.svi.re.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