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용대상분야 | 사회적가치 |
지역공동체 | • 지역주민 취업을 위한 직업기술 훈련기회 제공 • 학교에 다니지 않거나 일자리가 없는 청소년을 위한 기술훈련 및 일자리 제공 • 학생 및 청년들을 위한 일자리 체험기회 제공 • 청소년 진로 설정을 위한 자문 및 정보 제공 • 지역공동체 필요 충족을 위한 지역주민 의견 수렴 • 학교도서관이나 (노약자와 같은) 특정 집단을 위한 위락시설 제공 • 지역공동체를 위한 보건서비스 제공 • 지역공동체를 위한 공간이나 도로 접근을 위한 시설 제공 |
지역경제 | • 지역주민을 위한 기술훈련 혹은 일자리 제공 • 지속가능한 서비스 공급 • 윤리적인 조달 • 종업원/직원 및 공급업체 후생환경 조성 • 지역공동체를 위한 직접적인 투자 • 조달에서 현지지역 산물 및 노동력 활용 |
공급망 | • 중소기업 및 사회적기업을 위한 공급기회 제공 • 공급시장 다양성 개선 • 지역산물 및 노동력 활용 • 지역업체 활용 • 노동자 인권 및 평등 추구 • 종업원/직원 참여 촉진 • 종업원/직원을 위한 보건서비스 제공 • 순환경제/상품수명주기 고려 • 수익추구에 따른 사회적 문제 해결 |
환경 | • 식수 및 야생동물 서식지 보호를 통한 생물다양성 개선 •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에너지 및 물 자원 사용 최소화 •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폐기물 발생 최소화 • 재활용 자재 혹은 친환경 자재 사용 • 대기오염 및 수질오염 억제 • 소음공해 억제 |